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3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maintenance In this post, we will briefly explor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and also discuss some important points to consider in its maintenance. What is SCBA? SCBA stands for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As the name suggests, it is a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breathe stored air from a cylinder through a mask. SCBAs are commonly used for firefighting and rescue operations. On sh.. 2023. 7. 27.
자장식 호흡구(SCBA)의 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장식 호흡구(SCBA)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관리상 주의점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장식 호흡구란? 자장식 호흡구는 Self-Contained Breathing Appratus 줄여서 SCBA라고 통상 부르고 있습니다. 영문명에서 알 수 있듯이 실린더에 저장된 공기를 마스크를 통해 호흡할 수 있는 장비로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등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는 양압식 마스크를 사용하는데 이는 바깥공기보다 마스크 내부 압력을 높여 외부의 유독 가스가 마스크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자장식 호흡구 관리 상 주의 할 점?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자주 쓰이는 6L 실린더를 기준으로 했을 때 압력 205bar정도까지만 충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 2023. 2. 28.
안전속력을 결정하는 조건 (안전속력 결정 시 고려사항) 1. 모든 선박 국제규칙은 안전한 속력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모든 선박에 대하여 다음을 예시하고 있다. 1) 시계의 상태 제한시계 상태에서 고속으로 항행하면 근거리에서 상대선박을 발견한 경우에 적절하게 유효한 동작을 취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제한시계에서는 감속하여야 한다. 시계상태가 안전속력 판단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국제규칙 제19조에서는 시계가 제한되어 선수에서 기적신호를 들을 경우에는 타 효유지 최소속력으로 항해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2) 어선 혹은 기타 선박들의 밀집을 포함한 교통폭주의 정도 주위에 통항하는 선박이나 어로작업중인 어선이 많은 경우에는 충돌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저속항해를 하여야 할 것이다. 3) 정지거리와 선회성능을 고려한 선박의 조종성능 .. 2023. 2. 17.
MARPOL부속서 2장 유해물질의 종류 이번 포스팅에서는 MARPOL부속서 2장 유해물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X류 물질: 해양에 배출되는 경우 해양자원 또는 인간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끼치는 것으로서 해양배출을 금지하는 유해액체물질 2) Y류 물질: 해양에 배출되는 경우 해양자원 또는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거나 해양의 쾌적성 또는 해양의 적합한 이용에 위해를 끼치는 것으로서 해양배출을 제한하여야 하는 유해액체물질 3) Z류 물질: 해양에 배출되는 경우 해양자원 또는 인간의 건강에 경미한 위해를 끼치는 것으로서 해양배출을 일부 제한하여야 하는 유해액체물질 4) 기타 물질: 위험화학품 산적운송선박의 구조 및 설비를 위한 국제코드, 제18장의 오염분류에서 기타 물질로 표시된 물질로서 탱크세정수 배출 작업으로 해양에 배출할 경우.. 2023. 2. 17.
반응형